교계소식

개신교 14만 명 감소…"새로운 생태계 필요하다"

작성자
장병선
작성일
2012-11-21 12:45
조회
1029
개신교 14만 명 감소…\"새로운 생태계 필요하다\"  

양희송 대표 <다시, 프로테스탄트> 출간 기념 좌담회 개최

데스크승인 2012.11.20  17:58:37  윤화미 | hwamie@naver.com    
  
30년 간 한국교회 전반에 흐르던 성직주의, 성장주의, 승리주의라는 낡은 교계 패러다임의 한계가 드러나고 있다. 교회와 목회자의 갱신을 위해서는 몸집을 불리는 공룡이 아니라, 미생물의 존재가치를 인정해주는 새로운 개신교 생태계가 만들어져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양희송 대표의 <다시, 프로테스탄트> 출간을 기념한 좌담회가 19일 저녁 명동 청어람 소강당에서 열렸다.ⓒ뉴스미션

‘한국 개신교, 새로운 생태계는 가능한가?’ 주제로 좌담회

복음주의 운동가로 대표되는 청어람아카데미 양희송 대표가 개신교의 현재와 미래를 말하는 <다시, 프로테스탄트>를 출간했다. 19일 저녁 명동 청어람 소강당에서는 ‘한국 개신교, 새로운 생태계는 가능한가?’란 주제로 출간을 기념한 좌담회가 열려 관심을 모았다.

좌담회 자리에는 양희송 대표를 비롯해, 김형국 목사(나들목교회), 조현 기자(한겨레 종교전문), 최규창 대표(<고통의 시대, 광기를 만나다> 저자)가 패널로 나와 한국 개신교의 문제와 미래를 향한 전환에 대해 열띤 토론을 벌였다.

토론에 앞서 양 대표는 책 <다시, 프로테스탄트>에 기술한 한국교회의 구조적 문제를 지적하고, 새로운 개신교 생태계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그는 1985년, 1995년, 2005년도의 한국사회 종교 관련 데이터 분석에서 “지난 20년 간 종교 인구는 급격하게 성장했다”며 “한국인 종교의 절대다수를 점하고 있는 불교, 기독교, 천주교 3대 종교를 살펴볼 때, 천주교가 219만 명이 증가하며 급성장했고, 불교는 40만 명 증가, 개신교는 14만 명의 감소세를 나타냈다”고 설명했다.

또 “세대별 통계를 살펴보면 개신교는 10대, 20대, 30대에서 감소하고 있고, 40대 이후에는 회복세를 보인다”며 “지역별로는 개신교가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 지역에 압도적으로 밀집해있지만 영남권 등 지방에서는 존재감이 약화된 모습”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반면 천주교는 지역별, 세대별 고르게 분포하고, 세대와 지역의 장애물을 거슬러 절대 성장하는 모습을 보인다”며 “2015년쯤 다시 통계가 나올텐데, 그때까지 반전 기회를 만들지 못하다면 천주교와 개신교의 순위가 뒤바뀔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과거의 낡은 패러다임, 이제 유효하지 않다”

양 대표는 2007년이란 상징적 해를 기점으로 한국 개신교가 패러다임의 변화를 겪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2007년의 5가지 상징적 사건으로 평양대부흥 100주년, 비정규직 파업, 아프간 사건, 장로 대통령, 학력 위조 문제를 들었다.

    
▲양희송 대표ⓒ뉴스미션
그는 일례로 “개신교는 사회가 비정규직 노동 문제로 몸살을 앓고 있음에도 사용자 측, 재단 측에 쉽게 서는 모습을 보였다”며 “30년간 이어져 온 낡은 교회 패러다임이 기독교 사회 패러다임과 충돌하며 더 이상 유효하지 않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양 대표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위해 해결돼야 할 세 가지로 성직주의, 성장주의, 승리주의를 들었다.

그는 “부흥하면 모든 것이 정당화되고 목회적 성공을 이룬 목회자는 특별한 존재로 여겨지면서 성직주의는 성공주의와 연대했다”며 “그러나 교회 건축을 위해 9조 원에 달하는 대출기금을 짊어진 한국교회가 그런 방식으로 다음 세대를 준비할 수 있겠는가 하는 의문이 든다”고 지적했다.

‘승리주의’에 대해 그는 “교회가 세상을 만나는 방식은 전도 아니면 선교가 유일하다. 그러다보니 자기신앙 발현이 ‘봉은사 영적전쟁’의 방식으로 나오게 된 것”이라며 “종교개혁자들이 서로를 죽이지 않고 함께 사는 것, 생존을 위한 서로간의 합의로서 ‘종교적 관용’ 또는 ‘정교분리’ 등을 끌어낸 것인데, 한국교회는 이를 학습할 기회가 없었던 것 같다”고 설명했다.

양 대표는 이같은 한계를 극복하고 한국 개신교가 새로운 생태계를 만들지 못하면 생존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몸집 유지에 에너지를 너무 소모하고 기후 변화에 취약한 공룡이 아니라, 미생물도 존재 가치가 있고 상호협력으로 역할을 분담할 수 있는 생태계 즉, 교회 생태계, 지식 생태계, 시민 생태계가 작동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교묘한 구조적 문제, 새로운 생태계로 바꿀 수 있을까?

이어진 토론에서 패널들은 한국교회 전반에 퍼져있는 구조적, 의식적 문제를 공감하면서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들을 논의했다.

조현 기자(한겨레신문 종교전문)는 “한국교회의 가장 심각한 문제는 타 종교에 대한 배타적 태도인데 이는 비기독교인들이 기독교에 대한 혐오감을 갖게 한다”며 “가톨릭이 성장한 핵심적 요인은 포용과 관용에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한국교회는 ‘믿음으로만 구원받는다’는 신앙으로 실천과 관계없는 믿음만을 강조했다”며 “그로 인해 드러난 세습, 횡령, 성폭행이 얼마나 실천적인 선행과 거리를 멀게 만들었는지 증명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김형국 목사(나들목교회)는 “문제가 있는 일부 대형교회가 한국교회 전체를 대표하는 듯 말하는 것은 균형을 잃은 것”이라며 “한국교회 전부가 문제 있다 말하는 것은 매우 억울한 일”이라고 반박했다.

또한 “양 대표가 말한 성직주의, 성장주의, 승리주의 세 가지 모두는 극복 가능한 문제이며, 반드시 혁명을 지나지 않더라도 점진적 변화를 통해 바꿔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교회 자체의 본질적 회복을 지속하지 않으면서 생태계를 바꾸는 것만으로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 상당수 목회자 개인들이 움직이면 깰 수 있는 것들”이라고 주장했다.

김 목사의 주장에 양 대표는 “대형교회만 사고가 생기는 것이 아니라, 중소형교회 역시 다른 양상으로 문제가 있다는 점에서 대형교회만 지적할 것은 아니다”라며 “다들 대형교회가 되고 싶어하는 마음이 있고 개념들을 공유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그는 “소수의 사람들, 하나의 좋은 교회 모델이 전체에 영향을 주기에는 한계가 있다”며 “개인이 아닌 모두가 같은 이야기를 하며 떠든다면 지금 지배적이라고 생각하는 패러다임도 제동이 걸릴 수 있다. 지금 한국교회는 구조적 문제를 극복하고 새로운 패러다임을 창출하는 전환기의 시점에 있는 게 아닌가 생각한다”고 말했다.

최규창 대표(<고통의 시대, 광기를 만나다> 저자)는 “오늘날 성직주의, 성공주의를 고민하지 않는 목회자는 없을 것”이라며 “그러나 구조적 문제는 두텁고 교묘하다. 구조를 해체하는 것이 기독교 생태계의 과제라고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 관리자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12-11-22 10:31)



전체 2

  • 2012-11-21 17:38

    일만 명 교회 열 네개가 사라졌구먼요~!!


  • 2012-11-21 17:38

    일만 명 교회 열 네개가 사라졌구먼요~!!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70 장병선 2012.11.27 916
69 함창석 2012.11.26 1232
68 윤법규 2012.11.26 963
67 장병선 2012.11.26 1022
65 장병선 2012.11.15 922
64 박운양 2012.10.30 1591
63 장병선 2012.10.22 1771
62 장병선 2012.10.20 962
61 장병선 2012.10.12 804
60 김준구 2012.10.09 604
59 박운양 2012.10.07 2886
58 김봉구 2012.10.06 708
57 장병선 2012.10.06 935
56 장병선 2012.10.06 1187
55 장병선 2012.10.04 1046
54 장병선 2012.10.04 1275
53 송귀섭 2012.10.02 1490
52 장병선 2012.09.29 1631
51 송성모 2012.09.25 1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