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 여러분께.
현재 ‘감리회소식’이 ‘자유게시판’처럼 사용되고 있습니다.
정치적 입장표명이나 감리회정책과 관계되지 않은 내용 등
‘감리회소식’과 거리가 먼 내용의 글은 ‘자유게시판’을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

난해‧중요 성구 6회(마 3:11-12): 요한의 세례와 예수의 성령과 불 세례

작성자
최세창
작성일
2016-03-29 09:44
조회
1022
이어서 세례 요한은 자신의 사명에 대해, 【11】[나는 너희로 회개케 하기 위하여 물로 세례를 주거니와 내 뒤에 오시는 이는 나보다 능력이 많으시니 나는 그의 신을 들기도 감당치 못하겠노라 그는 성령과 불로 너희에게 세례를 주실 것이요]라고 하였다.
[나는 너희로 회개케 하기 위하여 물로 세례를 주거니와]는 세례 요한이 물로 세례를 주는 목적이 죄 사함이 아니라, 죄 사함을 받게 하는 회개(막 1:4)를 위한 것이라는 뜻이다.
그러나 [내 뒤에 오시는 이](ὁ δὲ ὀπίσω μου)는, 그리스도께서 인간으로 오셔서 공생애를 시작하는 것이 시간적으로 세례 요한보다 나중이라는 뜻이다.
[나보다 능력이 많으시니](ἰσχυρότερός μου ἐστίν)는 세례 요한이 비교한 대상은 예수 그리스도이시다. 그의 선포는 그 자신과 다른 인간과의 상대적 비교가 아니라, 인간과 예수 그리스도와의 절대적 비교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 점은 주로 ‘본질적이며 본래적인 힘이 더 많다’를 의미하는 이스퀴로테로스(ἰσχυρότερός: 엡 6:10, 벧전 4:11)가 사용된 것으로도 뒷받침된다.
이 세례 요한의 말은 당시의 민중이 세례 요한을 혹시 그리스도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한 것(눅 3:15)에 대한 단적인 부인이라는 점에서 뜻깊은 선포라 할 수 있다. 실상, 세례 요한은 유대인들을 대표하는 제사장들과 레위인들의 질문을 받았을 때에도 분명하게 그리스도가 아니라고 확언하였다(요 1:19-20). 그는 세상의 인기나 존경이나 추종에 대해 초연한 참 예언자이었고, 세상의 흐름과 반응에 상관없이 묵묵히 자기 길을 걷는 하나님의 일꾼이었다.
[나는 그의 신을 들기도 감당치 못하겠노라]가 누가복음 3:6에는 “나는 그 신들메를 풀기도 감당치 못하겠노라”라고 되어 있고, 마가복음 1:7에는 “나는 굽혀 그의 신들메를 풀기도 감당치 못하겠노라”라고 되어 있다. “주인의 신[휘포데마타, ὑποδήματα: ‘샌들’, ‘위가 끈으로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된 가죽 신’]의 끈을 매고 풀며, 그 신을 가지고 다니는 것은 하급 노예가 하는 천한 일이었다”(R. Earle).①
세례 요한의 고백은, 그 자신은 오시는 그리스도께 비한다면 그분의 신발을 들거나 신발 끈을 푸는 노예의 자격조차 없다는 뜻이다. 세례 요한이 유대인들의 숭앙을 받고 있었다는 사실을 미루어 볼 때, 그가 얼마나 겸손한 인물이며 자신을 아는 인물인가를 알 수 있다. 그는 예수님은 흥해야 하고, 자신은 쇠해야 한다고 말하기도 하였다(요 3:30). 이러한 점들을 볼 때, 예수님이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말하노니 여자가 낳은 자 중에 세례 요한보다 큰 이가 일어남이 없도다······”(마 11:11)라고 칭찬하신 까닭을 알 수 있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의 칭찬인가 함도 중요하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누구의 칭찬인가 함이다.
[그는 성령과 불로 너희에게 세례를 주실 것이요]는 뒤이어 오실 메시아의 활동을 의미하는 것이다.
{물 세례는 외적 형식이나, 성령 세례는 내적 변화이고; 물 세례는 인간적 의식이나, 성령 세례는 신적 의식이며; 물 세례는 예비적인 것이나, 성령 세례는 완전한 것이다. 물 세례는 죄를 떠날 것을 호소하는 도덕적 정화를 상징하나, 성령 세례는 구원과 심령 및 생활의 성결의 시작이다. 이는 성령의 내주에 의한 내‧외적 변화를 의미하는 것이다.
“구약 시대에는 성령이 부어지는 것은 메시아 시대의 도래를 보여 주는 것이었다(사 44:3, 겔 36:25-27, 욜 2:28). 구약 위경의 「열두 족장의 유훈」 중의 레위 18장 11절에는 메시아가 성령을 준다고 하는 언급이 있다. 예수님이 성령으로 세례를 주신다 함은 이와 같은 배경에 기초하고 있고, 메시아 시대의 도래를 고하는 것이었다”(山口 昇).}(막 1:9의 주석).
본래 구약 시대에도 하나님의 신(야웨의 신, 또는 거룩한 성령)은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 R. Earle, 마태복음(비콘 성경 주석, 6).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제사장, 예언자, 사사, 군인, 왕, 심지어 일꾼 등에게 은사로 주어졌다(출 31:3, 삿 3:10, 6:34, 사 11:2, 42:1, 59:21, 61:1, 미 3:8). 그러나 그것은 어디까지나 특별한 것이며 제한적인 것이었다. 신약 시대에 이르러 비로소 보편적이며 항구적인 성령 강림의 역사가 나타난 것이다. 그리고 그 획기적인 사건이 바로 다락방에서 기도하던 120명 가량의 성도들에게 발생한 오순절의 성령 강림이다(행 1:15, 2:1-4).
[불로 너희에게 세례를 주실 것이요]의 [불](퓌리, πυρί) 또는 ‘불꽃’(살후 1:7)은 신(사 10:17. 비교: 계 1:14, 2:18, 19:12) 또는 신의 현현을 묘사하는 것이다(출 3:2, 사 29:6, 66:15, 단 7:9, 행 7:30). 특히, 불은 하나님의 심판과 파멸을 나타낼 때에 사용되었다(사 29:6, 31:9, 66:15, 16, 욜 1:19, 암 7:4, 겔 20:47, 습 1:18, 3:8, 말 3:2, 4:1). 데살로니가후서 1:7에는 최후 심판을 위해 주께서 불꽃 중에 재림하시는 것으로 묘사되었다. 또한, 불은 정결의 관념을 나타내기도 하였다(슥 13:9, 사 6:6-7, 벧전 1:7). 특히, 이사야 4:4에서는 정결과 심판과 불이 연결되어 있다.
실로, 그리스도 예수를 구주로 믿고 영접하는 사람(마 16:16-17, 고전 12:3. 참조: 고전 12:9)은 성령의 세례를 통해 믿고 구원받아 성결해지지만, 믿지도 영접하지도 않는 사람은 심판을 받는 것이다(요 3:18-19의 주석을 보라).
그리스도 예수의 구원과 심판에 대해, 세례 요한은 【12】[손에 키를 들고 자기의 타작 마당을 정하게 하사 알곡은 모아 곡간에 들이고 쭉정이는 꺼지지 않는 불에 태우시리라]라고 선포하였다.
이 구절은 세례 요한의 뒤에 오시는 그리스도 예수께서 자신을 영접하는 자 곧 믿는 자는 구원하시고, 그렇지 않은 자는 심판하시는 것을 타작에 비유한 것이다(말 3:3, 4:1, 에녹서 62:2, 27, 63:10). 실상, 그리스도를 믿지 않은 것 자체가 심판이다. 사도 요한은 “저를 믿는 자는 심판을 받지 아니하는 것이요 믿지 아니하는 자는 하나님의 독생자의 이름을 믿지 아니하므로 벌써 심판을 받은 것이니라”(요 3:18)라고 하였다.

출처: 최세창, 마태복음(서울: 글벗사, 2004년), pp. 129-132.

필자의 newrema.com의 저서들: 신약 주석(마-계 8610쪽)/ 난해 성구 사전 I, II권/ 예수 탄생 이전의 구원/ Salvation Before Jesus Came/ 바울의 인간 이해/ 바울의 열세 서신/ 우린 신유의 도구/ 눈솔 인터넷 선교/ 영성의 나눔 1, 2, 3, 4권/ 영성을 위한 한 쪽/ 설교집 24권/ 눈솔 예화집 I, II. (편저)/ 웃기는 이야기(편저).// 다수의 논문들 HP 010-6889-3051



전체 0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공지사항 관리자 2014.10.22 67798
공지사항 관리자 2010.12.29 65949
3311 함창석 2016.04.08 769
3310 유삼봉 2016.04.08 1365
3309 최세창 2016.04.07 1344
3308 최세창 2016.04.07 800
3307 서정식 2016.04.05 2151
3306 함창석 2016.04.05 544
3305 최범순 2016.04.04 1219
3304 김종훈 2016.04.04 1022
3303 강형식 2016.04.04 1230
3302 김성기 2016.04.01 1034
3301 박영규 2016.04.01 778
3300 함창석 2016.04.01 1146
3299 함창석 2016.03.31 1351
3298 유삼봉 2016.03.31 1099
3297 임춘희 2016.03.31 1082
3296 문병하 2016.03.30 2123
3295 오재영 2016.03.30 1995
임춘희 2016.03.30 823
3294 함창석 2016.03.29 1574
3292 이충섭 2016.03.28 13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