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4 절 재 판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4-10-04 19:07
조회
515
제 7 편  재 판 법
제 4 절  재    판
[910] 제29조(재판위원회의 구분) 재판위원회의 구분은 다음 각 항과 같다.
① 구역회에 구역회 재판위원회

② 지방회에 지방회 재판위원회

③ 연회에 연회 재판위원회

④ 총회에 총회 재판위원회와 총회 특별재판위원회를 둔다.
[911] 제30조(재판위원회의 구성) 재판위원회의 구성은 다음 각 항과 같다.
① 구역회 재판위원회는 구역회원 5명으로 구성한다.

② 지방회 재판위원회는 지방 회원 10명(교역자 5명, 평신도 5명)으로 구성한다.

③ 연회 재판위원회는 연회원 10명(교역자 5명, 평신도 5명)과 감독이 지명하는 법전문인 2명으로 구성한다.

④총회 재판위원회는 감독회의에서 배정한 기준에 의거 각 연회에서 추천한 10명(교역자 5명, 평신도 5명)과 감독회장이 지명하는 교역자 2명과 법조인 2명으로 구성한다. (개정)

⑤ 총회 특별재판위원회는 감독회의에서 배정한 기준에 의거 각 연회에서 추천한 10명(교역자 5명, 평신도 5명)과 감독회장이 지명하는 교역자 1명과 법조인 3명으로 구성한다. 단, 평신도는 가급적 법조인으로 한다. (개정)

⑥ 지방회 재판위원은 5명을 한 반으로 하고 제척·기피가 있을 때에는 다른 반 위원 5명 중에서 대치한다.

⑦ 연회 재판위원은 6명(법전문인 1명 포함)을 한 반으로 하고 제척·기피가 있을 때에는 다른 반 위원 6명 중에서 대치한다.

⑧ 총회 재판위원은 7명(법조인 1명 포함)을 한 반으로 하고 제척·기피가 있을 때에는 다른 반 위원 7명 중에서 대치한다. (개정)

⑨ 각급 재판위원회는 그 첫 회의에서 위원장과 정·부서기를 각각 1명씩 선출한다.

⑩ 연회 이상의 재판위원은 감리회 본부에서 시행하는 소정의 교육을 이수해야 한다.

⑪ 감독 및 감독회장은 연회원, 총회원이 아닌 법전문인 또는 법조인을 연회 재판위원, 총회 재판위원, 총회 특별재판위원으로 지명할 수 있다. (신설)
[912] 제31조(재판위원의 임기)
① 재판위원의 임기는 2년으로 한다. 결원이 발생하였을 때는 재판위원회가 속해 있는 해당 의회 의장이 결원을 보충 임명하고 그 임기는 전임자의 잔여임기로 한다.

② 재판위원 교체시에는 일시에 전원이 교체되지 않도록 한다.
[913] 제32조(재판위원 제척 및 기피) 재판위원 제척 또는 기피는 제3절 제17조(심사위원의 제척)와 제18조(심사위원의 기피)에 준한다.
[914] 제33조(재판 관할) 재판은 다음 각 항과 같이 관할한다.
① 교인 또는 교회임원에 대한 1심 재판은 구역회 재판위원회, 2심 재판은 지방회 재판위원회에서 관할한다.

② 장로와 서리담임자 및 전도사에 대한 1심 재판은 지방회 재판위원회, 2심 재판은 연회 재판위원회에서 관할한다.

③ 교역자(연회원과 감리사) 및 연회에 관련된 사항의 장로에 대한 1심 재판은 연회 재판위원회, 2심 재판은 총회 재판위원회에서 관할한다. (개정)

④ 감독과 감독회장 및 총회에 관련된 사항의 교역자와 장로에 대한 1심 재판은 총회 재판위원회에서, 2심 재판은 총회 특별재판위원회에서 관할한다. (개정)

⑤ 감독 및 감독회장 선거법 위반자에 대한 재판은 총회 특별재판위원회에서 관할한다.
[915] 제34조(재판) 재판은 다음 각 항과 같이 한다.
① 재판은 법정 위원수 2/3 이상의 출석으로 개최한다.

② 재판위원회 위원장이 불참한 때에는 위원장이 지명하는 위원이 재판을 개최한다. 지명하지 않을 때는 출석 재판위원 중에서 임시 재판위원장을 선출하여 재판을 개최한다.

③ 재판에는 심사위원장 또는 심사위원회 서기가 입회하여야 한다.

④ 재판은 당해 심사기록을 송부 받은 날로부터 2개월 이내에 판결한다. 다만,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1차에 한하여 재판위원회의 결정으로 15일 간 연장할 수 있으며, 제3기관에 의뢰한 기간 또는 당사자의 사정에 의해 지연된 기간은 재판기간에 포함하지 않는다.

⑤ 재판위원회가 재판기간을 도과하였을 경우에는 해당 재판위원회 위원들은 제척되며 재구성된 재판위원회는 그날로부터 2개월 이내에 판결한다.
[916] 제35조(변호인) 변호인의 선임은 다음 각 항과 같다.
① 피고소인, 피고발인은 기소사건의 내용을 잘 알고 교회헌법이나 규칙에 익숙한 이로 변호인을 선임할 수 있다. (개정)

② 고소인, 고발인이 스스로 변호인을 선임할 능력이 없을 때에는 재판위원장이 고소인, 고발인과 의논하여 교역자와 교인 중에서 변호인을 지명할 수 있다. (개정)

③ 선임된 변호인의 출석 없이는 재판을 개시할 수 없다. 다만, 피치 못할 사정이 있는 경우는 예외로 한다.

④ 변호인은 소정의 여비 외에는 보수를 받을 수 없다. 다만, 변호사 자격을 갖춘 변호인은 예외로 한다. (개정)

⑤ 총회 재판위원회와 총회 특별재판위원회에 관여하는 변호인은 변호사 자격을 갖춘 이여야 한다. (신설)
[917] 제36조(증인의 채택) 고소인이나 피고소인은 증인을 채택할 수 있다. 다만, 특별한 경우 교인이 아닌 사람도 본인이 수락하면 증인으로 채택할 수 있다.
[918] 제37조(증인 선서) 증인은 증언에 앞서 다음과 같이 선서를 하여야 한다.

“본인은 신앙과 양심에 따라 사실대로 증언할 것을 엄숙히 선서합니다.”
[919] 제38조(소환) 고소인, 고발인, 피고소인, 피고발인, 증인, 변호인은 다음과 같이 재판위원장이 소환한다. (개정)

① 재판위원장은 재판 일시를 정하고 고소인, 고발인, 피고소인, 피고발인, 증인들을 소환한다. (개정)

② 제1회 재판시의 소환은 서면으로 통지하되 재판일 7일 전까지 송달되어야 한다.

③ 제2회 재판 일시에 대해서는 제1회 재판 장소에서 직접 구두로 고지할 수 있다.
[920] 제39조(재판연기) 제1회 재판기일에 피고소인, 피고발인이 이유를 서면으로 제출하여 출석하지 아니하였을 때는 1회에 한하여 재판을 연기할 수 있다. (개정)
[921] 제40조(궐석재판) 피고소인, 피고발인이 연기된 재판에도 출석하지 아니한 때는 궐석재판을 진행한다. (개정)
[922] 제41조(재판의 절차) 재판의 절차는 다음 각 항과 같다.
① 재판위원장의 재판 개회 선언

② 심사위원장의 기소장 낭독과 기소이유 설명

③ 사실심리:피고소인, 피고발인에 대한 신문과 고소인, 고발인의 진술 (개정)

④ 변호인의 변론

⑤ 증인 채택(원고측, 피고측으로 구분하여)

⑥ 변호인의 최후 변론

⑦ 피고소인, 피고발인의 최후 진술 (개정)

⑧ 판결
[923] 제42조(피고소인, 피고발인의 이의신청) 피고소인, 피고발인은 재판 중 다음과 같은 경우 재판위원장에게 이의를 신청할 수 있다. (개정)

① 재판이 합법적으로 개정되지 아니하였을 때

② 재판 절차나 진행에 있어서 위법적 사항이 있을 때
[924] 제43조(피고소인, 피고발인의 이의신청 처리) 재판위원장은 피고소인, 피고발인의 이의신청이 이유가 있다고 인정할 때는 재판을 정회하거나 연기하여 이의신청 요소를 시정하고, 이유가 없다고 인정할 때는 이의신청을 기각하고 이를 재판기록에 기재한다. (개정)
[925] 제44조(증거조사) 재판위원장은 제출된 증거물을 제시하고 증거물이 서류인 때는 그 요지를 고지하여 증거조사를 하고 이에 대하여 심사위원장, 고소인, 변호인 또는 피고소인에게 증거조사에 대한 의견을 묻고 피고소인에게는 권리를 보호함에 필요한 증거조사를 신청할 수 있음을 고지하여야 한다.
[926] 제45조(증인 심문) 증인에 대하여는 다음 각 항과 같이 심문한다.
① 재판위원장은 증인으로 하여금 구두로 증언하게 한다. 특별한 경우 서면답변으로 이를 대신할 수 있다.

② 증인들은 증인심문 때에 서로 동석할 수 없다.

③ 재판위원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는 증인과 다른 증인 또는 피고소인과 대질하게 할 수 있다.
[927] 제46조(증인의 여비) 증인의 여비는 재판위원회가 채택한 증인은 재판위원회에서, 그 외에는 증인을 신청한 고소인, 고발인이나 피고소인, 피고발인이 부담한다. (개정)
[928] 제47조(재판정의 질서유지)
① 재판위원장은 재판의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고소인과 피고소인 또는 재판에 관계된 이들에게 필요한 처분을 내릴 수 있다.

② 재판위원회는 제①항의 처분에 불복하여 재판위원을 모욕하거나 심히 불손한 언동을 한 때에는 직권으로 2개월 이하의 정직을 명할 수 있다.
[929] 제48조(판결) 판결은 다음 각 항과 같이 한다.
① 고소·고발 기간이 도과된 사건에 대하여는 면소판결을 하여야 한다.

② 재판위원회에 계류 중인 사건에 대하여 고소를 취하하면 재판위원회는 공소기각을 선고하여야 한다. 다만, 재산과 명예훼손의 피해는 보상해야 한다.

③ 재판위원회는 기소된 사건에 대하여 범과가 있다고 입증될 때에는 벌칙을 선고한다.

④ 재판위원회는 기소된 사건에 대하여 범과가 없다고 입증될 때에는 무죄를 선고한다.

⑤ 재판위원회의 유·무죄의 판결은 재판 위원회 정수 2/3 이상의 출석과 재석위원 2/3 이상의 찬성으로 판결한다. 다만, 판결을 위한 최후 재판시에 정수가 되지 아니하면 1차에 한해 연기하고 2차에도 정수가 되지 아니하면 참석위원 2/3 이상의 찬성으로 유죄의 판결을 내린다. (개정)

⑥ 재판비용의 부담은 벌칙을 받은 자의 부담으로 한다. 다만, 재판위원회는 고소인, 고발인, 피고소인, 피고발인 쌍방의 제반 사정을 고려하여 비용을 분담시킬 수 있다. (개정)

⑦ 제⑥항의 벌칙 및 비용분담을 선고 받은 자는 그 비용을 납부할 때까지 모든 의회 회원권이 정지된다.
[930] 제49조(판결의 통고) 재판위원회는 재판이 끝나는 대로 판결 정본을 고소인, 고발인, 피고소인, 피고발인, 심사위원회 그리고 재판위원회가 소속한 행정책임자에게 통고한다. (개정)
[931] 제50조(판결의 확정과 집행)
① 각 재판위원회의 판결은 상소기간이 지나면 자동적으로 확정된다. 다만, 상소심 재판위원회의 판결과 감독 및 감독회장 선거법 관련 총회 특별재판위원회의 판결은 선고와 동시에 확정된다.

② 해당 행정책임자는 확정된 판결을 14일 이내에 집행해야 한다.
[932] 제51조(재판기록의 정리) 재판기록은 재판위원회 서기가 정확하게 기록하여 재판위원장의 날인을 받는다.
[933] 제52조(재판기록의 송달과 보존) 재판위원회는 재판이 끝나는 대로 재판기록 일체를 재판위원회가 소속한 행정책임자 앞으로 송달한다. 해당 의회의 서기는 재판기록은 10년간, 판결문은 영구히 보존한다.
[934] 제53조(재판기록 원본의 열람) 고소인, 고발인이나 피고소인, 피고발인은 재판위원장의 허가를 받아 재판기록을 열람할 수 있다. (개정)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74 관리자 2014.10.04 536
73 관리자 2014.10.04 529
72 관리자 2014.10.04 537
70 관리자 2014.10.04 499
69 관리자 2014.10.04 524
68 관리자 2014.10.04 503
67 관리자 2014.10.04 479
66 관리자 2014.10.04 486
65 관리자 2014.10.04 485
64 관리자 2014.10.04 510
63 관리자 2014.10.04 472
62 관리자 2014.10.04 522
61 관리자 2014.10.04 507
60 관리자 2014.10.04 514
59 관리자 2014.10.04 515
58 관리자 2014.10.04 529
57 관리자 2014.10.04 463
56 관리자 2014.10.04 603
55 관리자 2014.10.04 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