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2 절 기독교조선감리회 자치 선교 시대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4-10-05 22:19
조회
2718
제 2 절 기독교조선감리회 자치 선교 시대
【7】6. 남북 감리회 합동 3․1운동 이후 한국 교회의 자립 의지가 높아지면서 미감리회와 남감리회 지도자들은 교회 합동을 논의하기 시작하였다. 1924년 두 교회 ‘교회진흥방침연구회’를 중심으로 교회 합동을 추진키로 하고 1925년 ‘남북 감리교연합기성위원회’가 조직되어 교회 합동을 위한 실무작업에 착수하였다. 미감리회와 미남감리회 총회에서도 한국 교회의 합동운동을 인정하였고 1930년 11월 18일 남북 감리회 대표 22명으로 합동전권위원회가 구성되었다. 그리고 마침내 1930년 12월 2일 ‘기독교조선감리회’ 창립 총회가 서울에서 열려 초대총리사로 양주삼 목사를 선출하고 한국 감리교회의 ‘자치교회 시대’를 열었다. 한국 감리교회는 그 설립 취지로 ‘진정한 기독교회’ ‘진정한 감리교회’ ‘조선적 교회’의 3대 원칙을 선포하였으며 신앙 및 신학 원리로 8개조 “교리적 선언”과 16개조 “사회신경”을 채택하였다. 그리고 모든 의회 구성을 평신도와 성직자 동수로 하여 평신도의 역할을 증대시켰으며, 여성 성직의 문호를 개방하여 1931년 연합연회에서 한국 최초로 여선교사 14명이 목사안수를 받았다.
【8】7. 교회의 영적 갱신과 신학의 발전 1930년대 한국 교회가 점차 신앙적 영성과 사회적 지도력을 상실한 채 비판을 받고 있을 때, 이용도 목사는 부흥회를 통해 영적 각성과 교회의 갱신을 촉구하였다. 그의 몰아적이고 체험중심적인 신비주의 신앙이 일부 교회로부터 견제와 비판을 받았지만, 그가 보여 준 진솔한 ‘예수 중심’의 신앙과 삶은 큰 위기에 처한 한국 교회의 영성 회복에 중요한 전기가 되었다. 또한 1930년대 한국 교회는 진보․보수 신학 사이에 첨예한 갈등을 겪고 있었다. 그러나 웨슬리 복음주의 전통에서 진보적 신학을 수용하였던 정경옥 목사는 ‘신앙에서는 보수주의, 신학에서는 자유주의’ 의견을 취하면서 ‘신학의 현대화’와 ‘신학의 향토화’를 추구했고, 경건적 신앙 실천을 바탕으로 성서의 절대 권위를 강조했던 변홍규 목사는 보수적 신학 전통을 계승하며 한국 감리교회의 신학 발전에 기여했다.
【9】8. 일제 말기 교회 수난 일제 말기 교회는 ‘신사참배’를 비롯한 일본의 국가 종교의식을 강요받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일부 교회 지도자들은 일제의 회유와 위협에 굴복하여 신사참배를 수용하는 오류를 범하기도 하였다. 점차 강력해지는 일제의 억압하에 한국 감리교회는 1943년 ‘일본기독교조선감리교단’이 되었다가 1945년 7월 말 ‘일본기독교조선교단’에 흡수되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신앙 양심과 민족의식에 투철한 신앙인들은 신사참배를 거부하며 투쟁하였다. 예산제일교회 청년․학생들이 ‘학생속회’를 통해 신사참배 거부운동을 전개하다가 발각되어 투옥되었고, 모곡교회의 민족운동가 남궁억 전도사에게 영향을 받은 홍천과 춘천 지방 목회자들과 평신도들은 ‘십자가당’을 만들어 항일투쟁을 벌이다가 투옥되었다. 그리고 동부연회의 철원읍교회 강종근 목사, 회양읍교회 권원호 전도사, 천곡교회 최인규 권사 등도 신사참배를 거부하고 투쟁하다가 옥중 순교하였다.
【7】6. 남북 감리회 합동 3․1운동 이후 한국 교회의 자립 의지가 높아지면서 미감리회와 남감리회 지도자들은 교회 합동을 논의하기 시작하였다. 1924년 두 교회 ‘교회진흥방침연구회’를 중심으로 교회 합동을 추진키로 하고 1925년 ‘남북 감리교연합기성위원회’가 조직되어 교회 합동을 위한 실무작업에 착수하였다. 미감리회와 미남감리회 총회에서도 한국 교회의 합동운동을 인정하였고 1930년 11월 18일 남북 감리회 대표 22명으로 합동전권위원회가 구성되었다. 그리고 마침내 1930년 12월 2일 ‘기독교조선감리회’ 창립 총회가 서울에서 열려 초대총리사로 양주삼 목사를 선출하고 한국 감리교회의 ‘자치교회 시대’를 열었다. 한국 감리교회는 그 설립 취지로 ‘진정한 기독교회’ ‘진정한 감리교회’ ‘조선적 교회’의 3대 원칙을 선포하였으며 신앙 및 신학 원리로 8개조 “교리적 선언”과 16개조 “사회신경”을 채택하였다. 그리고 모든 의회 구성을 평신도와 성직자 동수로 하여 평신도의 역할을 증대시켰으며, 여성 성직의 문호를 개방하여 1931년 연합연회에서 한국 최초로 여선교사 14명이 목사안수를 받았다.
【8】7. 교회의 영적 갱신과 신학의 발전 1930년대 한국 교회가 점차 신앙적 영성과 사회적 지도력을 상실한 채 비판을 받고 있을 때, 이용도 목사는 부흥회를 통해 영적 각성과 교회의 갱신을 촉구하였다. 그의 몰아적이고 체험중심적인 신비주의 신앙이 일부 교회로부터 견제와 비판을 받았지만, 그가 보여 준 진솔한 ‘예수 중심’의 신앙과 삶은 큰 위기에 처한 한국 교회의 영성 회복에 중요한 전기가 되었다. 또한 1930년대 한국 교회는 진보․보수 신학 사이에 첨예한 갈등을 겪고 있었다. 그러나 웨슬리 복음주의 전통에서 진보적 신학을 수용하였던 정경옥 목사는 ‘신앙에서는 보수주의, 신학에서는 자유주의’ 의견을 취하면서 ‘신학의 현대화’와 ‘신학의 향토화’를 추구했고, 경건적 신앙 실천을 바탕으로 성서의 절대 권위를 강조했던 변홍규 목사는 보수적 신학 전통을 계승하며 한국 감리교회의 신학 발전에 기여했다.
【9】8. 일제 말기 교회 수난 일제 말기 교회는 ‘신사참배’를 비롯한 일본의 국가 종교의식을 강요받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일부 교회 지도자들은 일제의 회유와 위협에 굴복하여 신사참배를 수용하는 오류를 범하기도 하였다. 점차 강력해지는 일제의 억압하에 한국 감리교회는 1943년 ‘일본기독교조선감리교단’이 되었다가 1945년 7월 말 ‘일본기독교조선교단’에 흡수되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신앙 양심과 민족의식에 투철한 신앙인들은 신사참배를 거부하며 투쟁하였다. 예산제일교회 청년․학생들이 ‘학생속회’를 통해 신사참배 거부운동을 전개하다가 발각되어 투옥되었고, 모곡교회의 민족운동가 남궁억 전도사에게 영향을 받은 홍천과 춘천 지방 목회자들과 평신도들은 ‘십자가당’을 만들어 항일투쟁을 벌이다가 투옥되었다. 그리고 동부연회의 철원읍교회 강종근 목사, 회양읍교회 권원호 전도사, 천곡교회 최인규 권사 등도 신사참배를 거부하고 투쟁하다가 옥중 순교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