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 여러분께.
정치적 입장표명이나 감리회정책과 관계되지 않은 내용 등
‘감리회소식’과 거리가 먼 내용의 글은 ‘자유게시판’을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

씨 열매를 보라

작성자
함창석
작성일
2022-11-09 10:59
조회
1050
씨 열매를 보라

함창석

껍질이라
겉껍질 속껍질이니
표층이라 하지

살이라
겉살 속살이니
중층 내층이라 하지

씨방이라
씨 배젖이니
심층 핵심층 아니냐

분자 속에
원자가 있다 하니
전자가 돌고
양성 중성자이지

현미 시각으로 보자
망원 시각으로 보자

핵이 분열할 때
에너지가 폭발하니
우주 빅뱅이라

【Main Talk】

열매는 나무 따위를 가꾸어 얻는, 사람이 먹을 수 있는 과실이다. 대개 수분이 많고 단맛 또는 신맛이 난다. 사과, 배, 포도, 귤, 감, 바나나, 밤 따위가 있다. 식물이 수정한 후 씨방이 자라서 생기는 것. 대개는 이 속에 씨가 들어 있다. 법률에서는 원물에서 생기는 이익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곡물, 양모 따위의 천연 과실과 이자, 집세, 땅세 따위의 법정 과실이 있다.

果자는 나무 위에 열매가 열린 모양을 본뜸이다. 또 열매를 맺는다는 데서 일의 결과나 혹은 과감히 함을 뜻하게 되었다. 果자의 갑골문을 보면 나뭇가지 위로 열매가 맺힌 모습이 그려져 있었다. 금문에서는 이것이 간략하게 田자로 표현되었다. 과실수는 일 년에 한 번씩 열매를 맺는다. 봄이 오면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기 시작하여 가을에는 잘 익은 과일을 수확할 수 있다. 그래서 果자는 비단 열매만을 뜻하지 않고 어떠한 일의 최종 ‘결과’나 ‘결실’이라는 뜻도 갖게 되었다. 實자는 実(실)의 본 자이다. 갓머리(宀 집, 집 안)部와 貫(관, 끈으로 꿴 많은 동전→財貨(재화)의 뜻)의 합자이다. 집안에 金銀財寶(금은재보)가 가득함의 뜻이다. 전하여 씨가 잘 여문 「열매」, 「참다움」, 「내용」의 뜻으로 되었다. 實자의 금문을 보면 宀자와 田(밭 전)자, 貝(조개 패)자가 결합해 있었다. 집에 밭과 재물이 있으니 이는 매우 풍족함을 표현한 것이다. 그러나 소전에서는 밭과 재물이 貫자로 바뀌면서 집에 돈뭉치가 있음을 뜻하게 되었다. 實자는 ‘부유하다’를 뜻했으나 후에 ‘결과가 좋다’라는 뜻으로 확대되면서 지금은 ‘열매’나 ‘재물’, ‘내용’이라는 뜻으로 쓰이고 있다.(디지털 한자사전 e-한자)

열매는 속씨식물(꽃식물)의 씨방이나 암술 및 이와 연관된 부속 부분이 성숙하여 만들어지는 것을 말한다. 부속 부분은 포엽, 화서축, 화탁, 복합화탁, 화탁통, 또는 화피와 같이 씨방(자방)에서 직접 기원하지 않은 기관들을 말한다. 과일은 나무의 열매만을 말하며, 열매가 보다 넓은 포괄적인 의미를 지닌다. 과피는 열매의 벽을 말하며, 성숙한 씨방벽에서 기원한다.1) 한 꽃에 있는 씨방이나 암술이 발달하여 열매가 될 경우 단과 또는 취과가 되며, 여러 꽃들이 모여 열매가 되는 경우 다화과가 된다. 단과는 한 꽃에 있는 단일 암술에서 발달한 것이며, 취과는 한 꽃에 있는 여러 개의 암술로부터, 즉 이생심피성인 꽃에서 발달한다. 단과는 성숙 당시 육질성인지 건성인지에 따라 육질과 또는 건과로 나누며, 성숙 시 열개하는 열개과와 열개하지 않는 폐과로 나눈다.
<각주>
1. 김영동, 신현철 역 (2011) 식물계통학(2판). (주)월드사이언스, 607

열매는 과실, 또는 땅의 소산물이나 가축의 새끼이다. 성경에서는 팔레스타인의 대표적인 열매인 포도, 감람, 무화과 열매 외에도 석류, 사과 등의 열매가 소개되고 있다. ‘열매’라는 단어는 이외에도 사람의 말이나 행실 특히 도덕적 행위(잠 12:14; 히 13:15), 악행에 따른 결과(호 10:13; 렘 6:19) 등을 의미하는 등 상징적으로나 은유적으로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신 7:13; 잠 1:31; 요 4:36). 그 대표적인 경우가 자녀를 ‘태의 열매’로(시 127:3),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강조하는 표현으로서 ‘입술의 열매’(사 57:19), 또 보응으로서의 ‘열매’(렘 17:10)가 언급되었다. 그리고 의인이 받을 결과물을 ‘의인의 열매’(잠 11:30)로 묘사하고 있다. 그리고 행위에 따른 악한 결과(마 3:10; 7:15-20; 눅 6:43-44)나 선한 결과(시 104:13; 마 3:8; 롬 7:4)로서의 ‘열매’와 복음 전파의 결과물로서의 ‘열매’(롬 1:13; 15:28; 빌 1:22), 성령께서 주시는 다양한 은사 곧 성도들이 삶을 통해 결실해야 할 ‘성령의 열매’를 언급하기도 한다(갈 5:22-23). 이런 맥락에서 성경은 ‘열매’로 그 사람을 알 수 있다고 말한다(마 7:16, 20).(가스펠서브, 열매, 라이프성경사전, 2006)

열매는 나무와 식물에 나는 먹을 수 있는 소산물이며, 일반적으로 씨를 둘러싸고 있는 과육을 말한다. 이러한 열매는 이스라엘 사람들의 음식에 필수적인 것으로 그들은 싱싱한 날 것이나 건조한 열매를 먹기도 하고, 기름(감람유), 포도주, 과자(무화과, 건포도)로 가공하기도 하였다. 가장 중요한 열매들은 감람 열매, 포도, 무화과였으며, 그밖에 대추야자, 멜론, 석류, 뽕나무 열매, 호두, 아몬드 등이 있었다. 8월에서 10월(히브리 달력으로는 압에서 티쉬리)까지의 기간은 과일들의 첫 수확기였다. 포도 수확은 대략 늦무화과와 같은 때인 8월에 시작되었다. 9월에는 석류, 아몬드, 첫 감람 열매가 남은 포도나 무화과와 함께 거두어졌다. 감람열매의 가장 중요한 수확은 10월에 이루어졌다. 각 추수기의 첫 열매는 감사의 표시로 하나님께 드려졌다. 나아가 첫 3년 동안에 나온 모든 과일 나무의 열매는 부정하게 여겨졌으며 제4년에 생산된 열매는 하나님께 예물로 드려졌다. 그리고 제5년에야 비로소 그 열매를 먹을 수 있었다. 열매에 대한 성경의 많은 언급은 은유적이다. 자녀들은 '태의 열매'로 생각되었다. 또한 '열매'는 보다 빈번히 사람이나 하나님의 활동의 결과나 귀결을 표현하고 있다.



전체 1

  • 2022-11-09 11:17

    사과, 배, 감 등은 씨방이 확실하다.
    밤, 살구, 복숭아 등은 씨방이 없기도 하다.
    채소열매인 참외는 씨방 흔적을 확실하게 보인다.
    하지만 수박은 어떠한가? 희미한 것이 아닌가?
    겉껍질 속껍질
    바깥쪽 살, 안쪽 살
    씨방으로는
    씨 겉껍질, 씨 속껍질, 씨 살
    생명인 배젖으로는
    뿌리, 싹을 틔우게 되는가요?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공지사항 관리자 2014.10.22 113939
공지사항 관리자 2010.12.29 110948
14297 홍일기 2025.03.28 14
14296 함창석 2025.03.28 42
14295 최세창 2025.03.27 38
14294 원형수 2025.03.27 28
14293 함창석 2025.03.26 121
14292 원형수 2025.03.25 96
14291 유삼봉 2025.03.25 105
14290 홍일기 2025.03.24 141
14289 함창석 2025.03.24 188
14288 원형수 2025.03.24 148
14287 원형수 2025.03.22 174
14286 홍일기 2025.03.21 212
14285 함창석 2025.03.21 202
14284 엄재규 2025.03.21 181
14283 원형수 2025.03.20 128
14282 홍일기 2025.03.20 204
14281 원형수 2025.03.19 135
14280 홍일기 2025.03.19 307
14279 최세창 2025.03.19 184
14278 최세창 2025.03.19 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