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의 특징
Author
함창석
Date
2024-06-20 07:01
Views
291
조선왕조의 특징 1
함창석
최장기 재위 21대 영조(1724년 8월 ~ 1776년 3월, 51년 7개월)
최단기 재위 12대 인종(1544년 11월 ~ 1545년 7월, 약 9개월)
최고령 즉위 초대 태조 이성계/이단(57)
최연소 즉위 24대 헌종 이환(7)
가장 오래 산 국왕은 역시 제일 오래 재위한 21대 영조(82)이고
가장 단명한 국왕은 6대 단종(16)이다
단종이 자연사가 아닌 것을 감안하면 실질적으로 가장 짧았던 국왕은 예종이다
태종 이방원에게 양위한 바지사장이었던 정종도 62년 장수했다
가장 아들이 많았던 국왕은 세종으로 총 18남을 두었고
가장 딸이 많았던 국왕은 3대 태종 이방원으로 17녀를 두었다
정실과 후궁을 모두 합쳐서 자녀 수가 제일 많았던 국왕은
3대 태종 이방원으로 총 12남 17녀를 두었다
자녀가 없었던 왕으로는 단종을 비롯하여 여럿이다
가장 아들을 많이 낳은 왕비는 소헌왕후로 총 8남을 낳았다
후계자로 가장 오래 있었던 국왕은 마지막 황제인 순종이다
최고령으로 세자가 된 인물은 2대 정종(42세)이고
최연소로 세자가 된 인물은 27대 순종(2세)이다
함창석
최장기 재위 21대 영조(1724년 8월 ~ 1776년 3월, 51년 7개월)
최단기 재위 12대 인종(1544년 11월 ~ 1545년 7월, 약 9개월)
최고령 즉위 초대 태조 이성계/이단(57)
최연소 즉위 24대 헌종 이환(7)
가장 오래 산 국왕은 역시 제일 오래 재위한 21대 영조(82)이고
가장 단명한 국왕은 6대 단종(16)이다
단종이 자연사가 아닌 것을 감안하면 실질적으로 가장 짧았던 국왕은 예종이다
태종 이방원에게 양위한 바지사장이었던 정종도 62년 장수했다
가장 아들이 많았던 국왕은 세종으로 총 18남을 두었고
가장 딸이 많았던 국왕은 3대 태종 이방원으로 17녀를 두었다
정실과 후궁을 모두 합쳐서 자녀 수가 제일 많았던 국왕은
3대 태종 이방원으로 총 12남 17녀를 두었다
자녀가 없었던 왕으로는 단종을 비롯하여 여럿이다
가장 아들을 많이 낳은 왕비는 소헌왕후로 총 8남을 낳았다
후계자로 가장 오래 있었던 국왕은 마지막 황제인 순종이다
최고령으로 세자가 된 인물은 2대 정종(42세)이고
최연소로 세자가 된 인물은 27대 순종(2세)이다
Total Reply 0
You must be logged in to post a comment.